식물사랑

팬지(Pansy) - 특징, 심는 방법, 관리하기, 병충해

지정수 2023. 2. 16. 08:57
반응형

삼색제비꽃이라고도 불리는 팬지는 유럽이 원산지입니다. 팬지(Pasny)라는 이름은 '생각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팡새(Penser)'라는 단어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꽃말이 '나를 생각해 주세요'입니다. 해마다 3월이 되면 도로변이나 공원에 꽃방석을 만들어 놓는 팬지의 특징, 심는 방법,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징

팬지는 가을에 파종하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입니다. 삼색제비꽃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5~30cm로 작은 편이고 1개의 꽃대에 1송이의 꽃이 핍니다. 꽃의 색깔은 노란색, 자주색, 흰색, 혼합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는데 5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추위에 강하고 원래는 장일식물(밤의 길이가 일정시간 이상 짧아지면 개화하는 식물)이었지만 현재 교잡된 재배종은 대부분 일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정기간의 저온을 경과해야 생육과 개화가 잘 이루어집니다. 파종시기는 8월 하순~1월 상순이며 개화시기는 4~5월입니다. 또 팬지는 식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는데 공원이나 야외에 심어진 꽃을 식용으로 이용할 수는 없고 식용으로 따로 재배된 꽃을 이용합니다. 주로 샐러드나 비빔밥, 차에 이용됩니다. 특히 자주색 꽃에는 ruitn이 함유되어 있어 피를 맑게 해 주고 이뇨제효과가 있습니다. 꿀주머니가 있어서 꽃잎 3개 중 하나에 달린 꿀주머니에서 꿀을 따먹을 수 있습니다. 

심는 방법

미세 씨앗을 파종할 때는  지피펠렛에 파종하게 되면 수분조절이나 온도 관리가 용이해서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피펠렛은 피트모스를 압축한 것이데 무균상태이며 뿌리발달을 촉진시켜 준다고 합니다. 위와 아래를 잘 구분하여 물에 담가주면 서서히 불려지는데 다 불려지면 팬지 씨앗을 심어줍니다. 8월 말에서 1월 초 사이 파종해서 싹이 트기 전까지는 분무기로 물을 자주 뿌려주며 10~15도의 온도로 관리하다가 싹이 나온 후부터는 지피펠렛을 저면관수 하지 말고 물을 조금씩만 주면서 상태 확인을 자주 확인해야 합니다. 파종하고 난 후에는 식물 LED을 이용하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관리에 용이합니다. 싹이 어느 정도 잘 자라서 크기가 커지면  화분이나 정원에 옮겨 심습니다. 이때 갑자기 야외로 옮겨 온도나 환경이 변하게 되면 식물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온도에 적응시켜 줍니다. 이른 봄 너무 일찍 밖에 심을 경우는 꽃샘추위로 갑자기 떨어지는 온도 때문에 얼어 죽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관리하기

팬지는 화분에서도 잘 자라고 화단에서도 잘 자랍니다. 제비꽃답게 어느 환경에서나 잘 자라고 번식력도 좋아 길가나 공원, 관공서 등지에 가장 많이 심는 관상용 꽃입니다. 한해살이 꽃으로 내한성이 아주 강해서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영하 5도 까지도 충분히 견딜 수 있습니다. 햇빛을 좋아하는데 햇빛을 잘 받으면 꽃의 색이 선명해지는데 햇빛이 드는 정도에 따라 색이 연해지거나 진해집니다. 하지만 너무 강한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꽃이 시들 수 있습니다. 노지에서 크는 팬지는 한여름 땡볕에는 자라기 힘들다고 할 수 있지만 요즘은 고온에 강한 품종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발아에 적당한 온도는 10~15도이며, 생육 적정온도는 10~20도입니다. 30도 이상의 기온에서는 웃자랄 수 있습니다. 화분이나 정원에 심어진 다음에는 물 주기는 흙이 완전히 마르면 흠뻑 주는 것입니다. 비옥한 것보다는 건조하고 배수가 좋은 흙이 좋은데 팬지를 화분에 키운다면 원예용 상토에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에서 키울 경우 중요한 것은 식물 키우기 에서 항상 강조하고 있는 통풍입니다. 햇빛과 물이 아무리 좋은 환경이라도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꽃이 시들거나 물러질 수 있기 때문에 통풍은 아주 중요합니다. 

병충해

줄기에 붙어서 즙을 빨아먹는 진딧물, 미세한 가루모양으로 잎의 뒷면에 붙어 즙을 빨아먹고 잎을 황색으로 만들어버리는 식물진드기기 있을 수 있고 또  잿빛 곰팡이병이 있습니다. 잿빛 곰팡이병은 아래잎이나 꽃에 갈색 반점이 생기게 합니다. 이때는 살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