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특징
- 생육환경
- 물 주기
- 병충해
특징
피토니아는 종류가 많습니다. 레드스타, 핑크스타, 화이트스타, 오렌지스타, 노멀 화이트 등 잎의 색깔이 화려한 종류가 많습니다. 저렴하면서도 색이 화려해서 모든 색이 인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화이트 스타는 잎의 색깔이 화려하고 무성한 것이 특징으로 실내에서 키우기 좋은 식물입니다. 잎보기식물로 생장높이가 20cm로 자라기 때문에 정원구성시 하층목으로 사용하는 지피식물입니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페루이며 열대성 식물로 쥐꼬리망초과의 상록성 한해살이풀입니다. 피토니아는 실내 공기정화 식물로 공기 중의 벤젠, 톨루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뿜어냅니다. 작은 잎들이 빼곡히 모여있는 모습이 앙증맞은데 화이트스타는 흰색에 짙은 녹색이 선명하게 대비되는 모습인데 잎맥이 고스란히 보이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만졌을 때 다른 식물들의 잎과는 달리 빳빳한 종이를 만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피토니아의 꽃말은 ' 좋은 추억, 청순, 당신을 영원히 사랑합니다'입니다.
생육환경
피토니아는 반음지식물입니다. 고온 다습하고 통풍이 잘되는 그늘이나 반그늘에서 잘 자랍니다. 생육온도는 21~25℃ 이고 최저온도는 13℃입니다. 열대성 식물이기 때문에 거실의 안쪽이나 창쪽이 적당한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은은한 채광이 드는 곳에서 키우면 잎이 선명한 색상으로 자랍니다.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잎이 쉽게 타들어가면서 잎이 검게 변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늘에서도 자랄 수는 있지만 잎의 색깔이 흐려지게 됩니다. 그리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장소라면 환기를 자주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냉해에 굉장히 약하기 때문에 겨울에는 반드시 13도 이상의 실내에서 관리해야 합니다.
물 주기
피토니아는 습도를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뿌리는 과습에 약하기 때분에 봄부터 가을까지는 겉흙이 마르면 물을 충분히 주고 겨울에는 물 주기를 줄여 주어야 겨울을 날 수 있습니다. 피토니아는 뿌리가 가늘고 잎이 얇기 때문에 수분을 오랫동안 저장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만약 말라비틀어질 때까지 방치하면 죽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잎은 습도를 좋아하기 때문에 수시로 분무기를 이용해 물을 분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토분이나 사기분에 심었을 경우에는 나무젓가락으로 찔러보아 흙의 마름이 확인되면 물을 주는 것이 좋은데 물이 필요한 시기가 되면 종이처럼 뻣뻣했던 잎들이 부드러워지면서 조금 처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손으로 스치듯이 만져 보고 물을 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또 물 주는 시기를 확인하는 방법은 화분을 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화분이 평소보다 아주 가벼우면 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물을 주고 나서 들어보면 꽤 무거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토니아는 포기나누기를 통해 번식이 가능한데 이때 뿌리를 잘 씻어 물에 담가 놓으면 수경재배도 가능합니다. 이 때 잎은 물에 잠기면 썩어버리기 때문에 최대한 수면 위로 두고 뿌리를 물에 담가놓으면 됩니다. 물꽂이를 할 때 잎이 너무 많으면 뿌리 성장이 늦어지기 때문에 번식을 위해 물꽂이를 할 때는 잎은 최소한으로 남겨두고 물꽂이를 해주어야 뿌리내리기가 쉽습니다. 물은 1~2주에 한 번 갈아주고 물이 증발하는 상태를 보면서 부족한 물은 채워줍니다.
병충해
잎이 너무 빽빽하고 무성해지면 통풍이나 배수가 잘 되지 않아서 병충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잘 생길 수 있는 병충해는 응애, 온실가루이가 있습니다. 하루에 한 번은 창문을 열어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또 떨어지는 잎들은 바로바로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화분의 흙 위에 오랫동안 방치해 두면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서 습해지거나 병충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물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전수 - 생육환경, 물 주기, 분갈이, 주의점 (0) | 2023.03.18 |
---|---|
아글라오네마 레드페이스 - 특징, 관리하기, 물 주기, 분갈이, 번식, 주의점 (0) | 2023.03.05 |
개나리재스민 - 특징, 생육환경, 물 주기, 분갈이 (0) | 2023.02.27 |
스노우 사파이어 - 특징,생육환경, 물 주기, 분갈이, 주의점 (0) | 2023.02.25 |
무스카리 - 특징, 생육환경, 구근 관리하기, 물 주기 (0) | 2023.02.24 |